본문 바로가기
운동전문가를 위한 그라운드

움직임을 위한 가이드 4

by 챌린지유나이트 2023. 7. 10.

"뇌의 어느 곳을 들여다보던 간에 지도가 넘쳐난다" 라만찬드란이라는 사람이 이런말을 했습니다.


현대 뇌과학 분야의 가장 위대한 발견 중 하나는 우리의 의식적인 경험이 뇌활동 패턴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패턴은 종종 지도(map)라고 불립니다.

모든 생각, 모든 감정, 모든 의도는 뇌의 물리적 상태의 결과물입니다.

몸을 인지하고 운동명령을 내리는 뉴런들은 종종 개별적인 영역에서 그룹을 만듭니다. 몸의 특정 부분을 움직이고 인식하는 데 사용되는 개별적인 뇌의 부분들을 피질지도 또는 신체지도라고 부릅니다. 또는 감각운동지도, 피질신체매트릭스, 또는 신체도식이라고 부르기도합니다.

이러한 지도들에 대한 비교적 최신의 발견은 우리가 몸을 어떻게 인지하고 움직이는지 깊이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신경가소성: 지도는 바뀔 수 있다.

신체 지도의 가장 흥미로운 특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지도들의 모양, 크기, 구조가 바뀔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우리가 몸을 움직이고 인식하는 방법의 변화와 연관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뇌가 변화하는 능력을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이라고 부릅니다. 아주 최근에 들어서야 뇌의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정된다는 기존의 생각이 뒤집혔는데, 이는 매우 혁명적인 개념입니다. 이제 우리는 뇌가 항상 스스로 구조와 생리를 개조하면서 기능적 요구를 충족시킨다는 것을 압니다.

좋은 움직임을 위해서는 좋은 지도가 필요하다.

특정한 신체 부분에 대한 움직임과 인지능력은 부분적으로 그 신체 부분에 대한 운동감각지도의 크기와 질에 의해 결정됩니다. 특정부분에 대해 매우 자세한 지도를 가지고 있다면 그 부분을 정교하게 인지하고 움직일 수 있습니다.



- 지도와 형상화

움직임 기술에 대한 신체지도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증거가 있습니다. 기술을 수행하는 것을 상상하는 것은 실제 수행력을 향상시킵니다. 이또한 그 기술과 관련된 신체 지도에 실제로 변화를 일으킵니다.

"움직임에 대한 느낌과 생각을 움직임 그 자체와 떼어놓을 수 없다" -마이클 머제니크-

-지도는 움직임에 의해 만들어진다

지도를 만드는 자료는 감각으로부터 옵니다. 예를 들면 신체의 뼈들을 손으로 직접 만져서 확인하고 눈으로 확인한다면 절대 그위치를 까먹지 않겠죠??

-지도는 움직임 부족에 의해 흐릿해질 수 있다

특정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진 신경지도가 사용되지 않는다면, 결국 그것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데 동원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뇌지도의 건강은 다른 신체구조와 똑같은 법칙을 따릅니다. 사용하지 않으면 잃어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감각지도는 말초신경으로부터 충분한 정보를 받지 못하면 명확성을 잃게 될 것입니다. 또한 정교하고 차별화도니 움직임을 수행하지 않으면 그 운동지도는 정교함과 개별성을 잃게 될 것입니다.

-통증과 신체지도

만성통증이 있는 사람들은 피질지도를 변화시킵니다. 통증이 운동감각지도를 '불분명하게' 만드는 데는 몇가지 일반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통증은 움직임을 방해하며 이는 고유수용적인 신호를 감소시킵니다. 둘째 통각수용(조직의 손상을 나타내는 신호)의 발현은 뇌의 주의를 끌기 위해 고유수용감각과 싸우게 됩니다.

이는 '감각통문(sensory gating)'을 일으키는데 이는 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감각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EX) 발목염좌가 있다면 발목을 덜 움직이려 할 것이고, 이는 뇌로 가는 특정 관절의 위치에 대한 감각신호가 적여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